한국응용생명화학회 첫화면으로 이동

학회소식

회원소식

게시글 내용
연구비 10%는 국제협력에 쓰자

기술습득엔 외국과 제휴가 지름길 미국.유럽선 연구비의 30%까지 사용 내년 차세대 성장동력 사업의 본격적인 개시와 함께 연구개발비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따라 연구개발비의 효율적인 사용이 과학기술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연구개발 투자 효율과 생산성을 높이는 한 방안으로 국제 협력을 꼽는다. 독자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지름길로서의 국제협력 실태를 알아봤다.[편집자] 지난해 유럽연합(EU)은 국제적인 프로젝트로 '프레임워크'를 띄웠다. 5개 분야로 나눠 2007년까지 20조원을 뿌리는 거대 프로젝트였다. 환경부는 출연연구소와 대학에 EU과제에 응모해보라는 공문을 내려보냈다. 3년간 10억원씩을 지원하는 만큼 많은 연구과제가 몰려들 것으로 예상했다. 결과는 정반대였다. 아무런 응모도 들어오지 않았다. 환경기술을 전공하는 한 교수는 "채택된다는 보장도 없을 뿐더러 영문 서류를 작성하는 일이 시간낭비일 것 같아 신청하지 않았다"며 "국내 연구비도 충분한 환경에서 대부분의 연구자가 무리하고 싶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연구과제에 외국 연구원이 신청하는 사례도 거의 없는 편이다. 과학기술부는 2000년 '특정연구개발사업 관리 규정'을 고쳐 외국인도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지만 지금까지 단 한건의 신청도 없었다는 사실이 이를 말해준다. 국내 연구개발 환경이 '우물안 개구리'라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국제협력에 대한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한정된 자원으로 이른 시간 내 결과물을 내놓기 위해서는 첨단기술을 가진 연구기관과 손을 잡는 등 발빠른 대응을 보여야함에도 불구하고 '보안' 등을 이유로 기피하는 양상이 확연하다. 기껏해야 학위를 줬던 지도교수 또는 국제학회에서 안면을 튼 연구진과 자료를 나눠보고 학생을 교환하는 산발적인 협력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과기부의 21세기 프런티어 사업에서도 이같은 현상은 잘 나타난다. 과기부는 프런티어 사업의 효율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위해 연구비의 10% 이상을 국제협력에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1999년부터 시작된 프런티어 사업단이 국제협력에 사용한 연구비는 2000년 1.7%, 2001년 2.9%, 지난해 3.8%, 올해 4.2%로 소폭 증가하는 추세이나 권고치에는 한참 못미치는 수준이다. 지난해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개발사업단이 가장 많은 9.4%를 국제협력에 사용, 권고치에 근접했을 뿐이다. 미국과 유럽이 연구비의 30%를 국제협력에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에 비하면 권고치 또한 세계적인 수준과 거리가 있다. 연구비 가운데 국제협력의 비중을 높이고 의무조항으로 삽입하자는 의견에 대해 과기부 관계자는 "기획예산처가 국제협력에 대해 외국가서 놀고 먹는 행위로 인식하고 있어 예산을 배정하는 데 인색한 편"이라고 말했다. 최근 정부부처에서 국제협력에 대한 인식을 달리하고 경쟁적으로 외국 연구기관과 손잡으려 분주하지만 기업체의 발놀림에 비할 바가 못된다.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는 곳 가운데 하나가 삼성종합기술원이다. 삼성종기원은 미국.유럽 등 4개국에 기술원을 파견, 필요로 하는 기술이 어디서 연구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있다. 삼성종기원은 또 전세계 15개 연구소와 '조인트랩' 계약을 맺고 '24시간 연구개발 시스템'을 구축했다. 예를들어 한국에서의 연구결과를 온라인 상에 띄우면 중국이나 러시아 연구소에서 자체 과제수행에 참조하는 방식이다. 이같은 방식이 미국까지 하루 종일 이어진다. 삼성종기원은 올해 조인트랩을 21개로 늘린 뒤 내년까지 30여개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연구개발비의 30%를 국제협력에 투입하는 셈이다. 삼성종기원 차대성 대외협력부장은 "우리가 원하는 기술을 시간맞춰 얻어내기 위해 국제협력을 확대하고 있다"며 "특히 최근의 생소한 융합기술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더 이상 혼자서는 혁신을 이룰 수 없다고 봐야 한다"고 밝혔다. 03/11/27,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