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응용생명화학회 첫화면으로 이동

학회소식

회원소식

게시글 내용
허울좋은 이름 「연구교수」

신용카드 조차 발급 못 받아 '비정규직 양산' 비판 잇따라 대학의 연구역량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운영되고 있는 연구교수제가 불안정한 신분 및 열악한 대우로 과학기술계에 또다른 문제거리로 떠올랐다. 이들 연구교수들이 사실상 신분을 보장받지 못하는 비정규직으로, 대학이 연구교수와 포스트닥 제도를 통해 비정규직 과학기술자를 양산하고 있다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서울대학의 경우 학부별로 차이는 있으나 보통 4명 이상의 연구교수를 활용하고 있으며, BK21사업단과 같은 경우 많게는 한해 10명이 넘는 연구교수가 계약제로 채용되고 있다. 실제 서울대 BK21물리사업단의 경우 2000년부터 4명의 연구교수를 활용해, 지난해엔 11명의 연구교수를 채용한 바 있다. 생명공학부도 9명의 연구교수를, 재료공학부도 2002년부터 매년 3~4명의 연구교수를 활용하고 있다. 이들 연구교수는 대부분 지난 1999년 BK21 사업이 시작되면서, 대학원생이 대폭 늘어남에 따라 대학원 교육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운영되기 시작했다. 이후 대형 수탁과제를 수행하는 학부를 중심으로 연구교수의 채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이들 연구교수들은 학부 강의를 맡지 않고, 주로 연구과제 수행과 대학원생 지도를 담당하는 점에서 일반 교수와 차이를 갖는다. 문제는 이들 연구교수는 강의를 맡지 않는 대신 신분 보장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현재 서울대는 이들 연구교수를 1년 단위로 계약 채용하고 있으며, 인건비 또한 BK21 사업이나 기타 수탁과제를 통해 조달하고 있는 상태다. 따라서 수탁 연구과제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 연구교수의 신분 또한 크게 변한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대학원을 중심으로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다. 서울대에서 연구교수로 재직중인 한 물리학 박사는 “정규직이 아니라는 이유로 신용카드 발급을 거부당했다”면서 “교수라는 직함은 달고 있지만, 사실 포스트닥이나 별반 차이가 없다”고 하소연했다. 또 다른 교수도 “자잘한 연구기기는 자기 비용으로 사야 할 정도로 학교 내에서 위치가 불안정하다”면서 “대부분 연구교수제도의 부당성을 인식하면서도, 대안이 없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참고 견디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문제의 원인을 BK21 사업 체계에서 찾고 있다. 서강대 화학과의 이덕환 교수는 “BK21 사업을 추진하면서, 대폭 늘어난 대학원생을 감당할 수 없자 대증처방으로 포스트닥과 연구교수라는 편법을 이용한 것이 문제의 근원”이라면서 “이공계 관련 일자리가 부족한 판국에 비정규직만 늘어나다 보니, 우수한 인력은 국내에 정착하지 못하고 외국으로 나가는 누수현상이 벌어지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일부 사립대를 중심으로, 비정규직 연구교수와 다른 새로운 ‘연구중심 교수제’의 도입이 활기를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희대와 한양대 아주대의 경우 정규직 교수 중에서 연구성과가 탁월한 교수진에 대해 강의시간을 대폭 경감하는 ‘연구중심교수제’를 도입했거나 검토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성과가 우수한 교수의 연구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지원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것으로, 사립대를 중심으로 도입이 확산될 전망이다. 03/10/17 (과학신문사이트) 허지영기자